수불석권(手不釋卷)과 괄목상대(刮目相對) 옛날 중국에서 후한(後漢)이 망한 후(後) 위(魏), 오(吳), 촉(蜀) 세 나라가 정립(鼎立)한 삼국시대 (三國時代) 때, 오(吳)나라의 초대(初代) 황제(皇帝) 손권(孫權)의 장수(將帥) 여몽(呂蒙)은 전쟁에서 세운 공로로 장군(將軍)은 되었으나 학식이 부족하여, 손권이 여몽에게 공부하기를 권하였습니다. 독서할 겨를이 없다는 여몽에게 손권은 자신이 젊었을 때 글을 읽었던 경험을 말하며 지금도 역사(歷史)와 병법(兵法)에 관한 책을 계속 읽고 있다고 하면서 “후한(後漢)의 황제(皇帝) 광무제(光武帝)는 변방(邊方) 일로 바쁜 가운데서도 책을 놓지 않았으며(手不釋卷), 위(魏)나라의 조조(曹操)는 늙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였다.” 라는 이야기를 들려 주었습니다. 그 말을 들은 다음부터 여몽은 싸움터에서도 학문에 정진 하였습니다. 그 뒤 손권의 신하 노숙(魯肅)이 옛 친구인 여몽을 찾아가 대화를 나누다가 박학다식(博學多識)해진 여몽을 보고 놀랐습니다. 노숙이 여몽에게 언제 그만큼 공부를 했는지 묻자, 여몽은 “선비가 만나서 헤어졌다가 사흘이 지난 뒤 다시 만났을 때는 눈을 비비고 다시 볼만큼 달라져야만 한다. 괄목상대(刮目相對)”라고 말하였습니다. 이 고사(故事)에서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고사성어(故事成語)인 수불석권(手不釋卷)과 ‘헤어진지 며칠 만에 다시 만났을 때 눈을 비비고 다시 볼 정도로 학문의 깊이가 달라졌음'을 말하는 고사성어(故事成語) 괄목상대(刮目相對)가 유래했습니다. [출처] 三國志 吳志, 呂蒙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