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팔이와 장돌뱅이
우리가 흔히 쓰는 말 중에 "돌팔이"라는 말이 있어요!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이 ‘돌팔이’의 "원" 뜻을 ‘돌’과 관련지어 생각하고 있지요! 머리가 돌이라 엉터리라는 의미로 해석을 하기도 하는데 그래서 치료를 잘못하는 의사를 보고 '돌팔이 의사'라 하지요! ▶ 1 그러나 이 말은 원래 남의 직업을 낮추는 말이 아니었어요! ‘돌팔이’는 요즘처럼 상설 붙박이 가게가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에 생겨났지요. 그 시절의 장사꾼 가운데는 이곳저곳으로 돌아다니면서 물건을 파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바로 그런 사람을 ‘돌팔이’라고 했어요! ▶ 2 요즘 말로 ‘행상(行商)’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러니 ‘돌팔이’의 ‘돌’은 돌멩이가 아니라 ‘돌아다니다’의 첫 글자임을 알 수 있어요. 그러니까 장이 서는 곳마다 돌아다니며 장사하는 사람을 ‘장돌뱅이’라 하듯이, 돌팔이는 돌아다니며 물건을 파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지요! ▶ 3 그렇기 때문에 본디 ‘돌팔이’는 부정적인 말이 아니었지요! 그런데 사람들이 자꾸 이 말을 부정적으로 쓰다 보니까, 요즘에 와서는 ‘돌팔이’란 말에 ‘제대로 자격을 갖추지 못한 엉터리 사람’ 이란 부정적인 뜻이 보태진 것이지요. ▶ 4 또 우리 속담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있어요! 이 속담의 뜻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촌이 땅을 살 경우 그것이 부러워서 배가 아프다”라고 해석하고 있지요! 이는 '남이 잘 되는 꼴을 보면 시샘이 난다.'인데, 너무도 냉소적이고 부정적인 민족성을 드러낸 속담이기도 하지요! ▶ 5 그러나 이 속담은 “사촌이 땅을 사는데 보태줄 것이 없어 배라도 아파서 거름이라도 줘야 할 텐데….” 그러니까 “사촌이 땅을 사면 배라도 아파야 할 텐데…”라고 하는데서 유래됐다 하지요! 그런데 이렇듯 순수하고 아름다운 미풍양속(美風良俗)을 일제강점기 때 ▶ 6 우리 민족의 민족성을 비하(卑下) 하기 위하여 사촌이 땅을 사도 배가 아플 정도로 시기 질투가 많은 민족으로 일부러 바꿔버린 것이라 하네요! 그러다 보니 이제는 그 말의 원뜻과는 달리, 사촌이 땅만 사도 배가 아파 못 사는 저급한 민족으로 굳어져 버렸지요! ▶ 7 이제라도 원래의 아름다운 풍속(風俗)을 제대로 알고 이를 이해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가을철이면 노랗게 익어가는 단감(丹果)이 있어요. 그런데 ‘단감’이란 말도 뜻을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요. ‘단감’의 ‘단’이란 말이 ‘달다’, ‘달콤하다’는 뜻인 줄 알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요! ▶ 8 그러나 달기로 말하면 단감보다는 연시나 홍시가 훨씬 더 달지요. ‘단감’의 ‘단’은 달다는 뜻이 아니라 ‘단단하다’는 뜻이지요! 그래서 단감은 "단단한 감"이란 뜻이지요! 그와는 달리 완전히 익어서 말랑말랑한 감은 ‘연시’라 하는데 글자 그대로 ‘연한 감’ 이라는 뜻이지요. ▶ 9 비슷한 사례를 한 가지만 더 들면 우리가 자주 쓰고 있는 ‘야산’이라는 말이 있어요. 흔히 ‘야산’의 ‘야’가 한자 ‘들야(野)’ 자에서 온 것으로 오해하고 있지만 (실제 몇몇 국어사전에는 이렇게 실려 있기도 하다) 사실은 우리말 ‘야트막하다’에서 첫음절을 딴 것이지요. ▶ 10 그러니까 ‘야트막한 산’이 바로 ‘야산’인 것이지요. 그래서 ‘단감’과 ‘야산’은 서로 짜임새가 같은 말이기도 하지요. 이렇듯 우리가 늘 사용하는 말인데도 원래의 뜻을 모르든가 아니면 왜곡(歪曲)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모든 것은 제대로 알고 제대로 사용해야 하지요. ▶11 특히 역사(歷史)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지요. "역사는 시대의 거울이다"라는 말이 있어요! 거울로서의 역할을 해온 역사 앞에서 우리는 언제나 바로 알고 바로 이해하고 바로 사용해야 하지요. 또 역사는 미래의 거울이라 했어요. ▶ 12 그래서 역사는 신성한 것이며 신성한 역사는 진실의 바탕 위에 바로서야 하지요. 역사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고 미래의 길을 제시하는 나침반이지요. < 카톡 으로 받은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