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인(忍)자의 비밀
참을 인(忍)자는 칼날 인(刃)자 밑에 마음심(心)자가 놓여있습니다. 이대로 참을 인(忍)자를 해석하자면 가슴에 칼을 얹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가만히 누워 있는데 시퍼런 칼이 내 가슴 위에 놓여 있습니다. 잘못 하다가는 가슴 위에 놓인 칼에 찔릴지도 모를 상황입니다. 상황이 이런데 누가 와서 짜증나게 건드린다고 뿌리칠 수 있겠습니까? 아니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날 수 있겠습니까? 움직여봤자 나만 상하게 됩니다. 화나는 일이 생겨도, 감정이 밀어닥쳐도 죽은 듯이 가만히 기다려야 합니다. 이렇듯 참을 인(忍)자는 참지 못하는 자에게 가장 먼저 피해가 일어난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기 평정을 잘 유지할 줄 아는 것이 인내입니다. 참을 인(忍)자에는 또 다른 가르침이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속에는 때로는 죽순처럼 솟아오르는 것들이 있습니다. 온갖 미움, 증오, 분노, 배타심 그리고 탐욕들이 그러합니다. 이런 것들이 싹틀 때마다 마음속에 담겨 있는 칼로 잘라 버리라는 것입니다. 이렇듯 인내에는 아픔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결단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인고의 삶을 터득하는 사람에게는 그 누구도범접할 수 없는 인격이주어질 것입니다. -인생명언모음 중에서- 忍(참을 인) 참았을 때는 1) 천자가 참으면 나라에 해가 없고, 2) 제후가 참으면 큰 나라를 이룩하고, 3) 벼슬아치가 참으면 그 지위가 올라가고, 4) 형제가 참으면 집안이 평안하고, 5) 부부가 참으면 일생을 해로할 수 있고, 6) 친구끼리 참으면 이름이 더럽혀지지 않고, 7) 자신이 참으면 재앙이 없느니라. 참지 못하였을 때 1)천자가 참지 않으면 나라를 잃게 되고, 2) 제후가 참지 않으면 그 몸을 잃어버리고, 3) 벼슬아치가 참지 않으면 형법에 의하여 죽게 되고, 4) 형제가 참지 않으면 각각 헤여져서 따로 살게 되고, 5) 부부가 참지 않으면 자식을 고아로 만들고, 6) 친구끼리 참지 않으면 정과 뜻이 맞지않아 원수간이 되고, 7) 자신이 참지 않으면 근심 걱정이 떠나질 않느니라. 못참고 성질대로 살다가는 평생 지워지지 않는 상처와 근심, 걱정, 한숨으로 몸과 마음을 상하게 된다. -지광스님, 마음의향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