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우리말의 유래 ▣ 숙맥 숙맥, 콩과 보리도 구별 못할 정도로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켜 '숙맥' 이라고 합니다. 숙맥은 漢字로 '숙(菽)'은 콩, '맥(麥)'은 보리를 뜻함. ▣ 철부지 '철부지'의 철은 季節의 변화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겨울 내 여름옷 만 입고 다닐 만큼 생각이 짧은 아이들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또한 '지혜'를 나타내는 말로도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알지 못한다는 한자의 "不知(부지)"가 합쳐져 철부지라는 말이 탄생하였 답니다. ▣ 시치미 떼다 옛날 사람들은 사냥을 할 때, 자기의 매를 표시하기 위해 매의 다리에 이름표를 달았습니다. 소의 뿔로 만든 '시치미'라는 이름표로 자기의 좋은 매가 남의 매와 바뀌지 않도록 하였답니다. 하루는 친구와 함께 매사냥을 나간 사람이 친구의 매를 탐내 매의 다리에 달린 시치미를 떼어 자기의 매에 달았습니다. 하지만 친구는 자기의 매를 알아 보았지요. '시치미'를 떼었다고 내가 모를 줄 알아? 이래서 알고도 모르는 척 잡아떼거나, 억지로 우길때 "시치미를 떼다" 라는 말을 쓰게 되었다네요. ▣ 아수라장 '아수라'는 원래 불교에서 사용하는 말입니다. 성질이 포악하고 싸움을 잘하고 좋은 일이 있으면 쫓아가 훼방을 놓는 나쁜 귀신이 '아수라' 입니다. 아수라들이 모여 놀고 있는 모습은 늘 시끄럽고 엉망진창일 거라고 생각하여 '아수라장'이라는 말이 생겼다네요. ▣ 푼돈 '푼'은 옛날에 화폐로 사용하던 엽전의 가장 낮은 단위였지요. 엽전 한 닢이 1푼이므로 푼돈이라고 하면 그리 많지 않은 몇 푼의 돈을 뜻하는 말이 되었네요. ▣ 싼 게 비지떡 값이 싼 것이 비지떡이 아니고, 보자기에 싼 것이 비지떡. 옛날 먼길을 떠다니던 나그네가 선술집에서 막걸리로 허기진 배를 채우고 나올 때 주모에게 사정해 얻은 비지를 보자기에 싸서 허리춤에 달았답니다. ▣ ~굴뚝 같다 명절이 되면 고향 가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먹거리가 적어 배를 곯았지요. 어쩌다가 떡 먹을 기회가 있을 때 꿀을 묻혀 먹으면 얼마나 맛이 좋은지! 꿀떡의 맛, 그래서 파생된 말. 꿀떡 같다 → ‘굴뚝 같다’로 오용되고 있습니다. ▣ 양치질하다 '양치질'의 양치는 양지(버드나무 가지)에서 비롯되었으며 접미사 '질'이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라고 합니다. 고려시대의 문헌, 계림유사에도 양지(버들 양, 가지 지)로 나타나고 이후 한글 문헌에도 양치질로 表記됨. 즉 양지 '버드나무' 가지로 옛날에는 이를 청소하였으며 근래처럼 이쑤시개를 사용하듯, 소독이 된다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사용했답니다. 이같이 이를 청소하는 것을 '양지질' 이라고 하였는데 점차로 어원이 변하여 이의 한자인 '치' 와 연결시켜 양치질로 변화된 말. 양지는 日本으로 건너가 일본 음인 '요지' 로 변하였으며 양치질에 쓰이는 치약으로는 소금이나 초를 사용합니다. ▣ 퇴짜 놓다 '퇴' 자가 찍힌 물건은 대궐로 들어갈 수 없다는 뜻. 물건을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치고 돌려보낸다. 즉, 거절하는 표현. 한자에서 退字의 변형! 옛날 곡물 매매 시 불합격품에는 쌀가마나, 도살장 돼지의 겉 부분에도 退자를 찍었답니다. - 카톡에서 받은 글 - 편집 : 창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