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노인(老人)도 꿈이 있는가?*

창산 2024. 7. 13. 10:16





Ernesto Cortazar - Dancing on The Clouds


노인(老人)도 꿈이 있는가?

오래 살고 싶은 마음이야
다 마찬가지지만,

인간(人間)은 욕심(慾心)대로
오래 살 수 없음을 앎으로
사는 날 까지
건강(健康)하게 살기를
바라는 것이
노인(老人)의 희망
(希望)이다.

정말로 사는 날까지
건강하게 사는 것이
소망(所望)이라면
어떻게 살아야 죽기 전까지
내내 건강할 수 있는 가도
알아야 한다.



그것은

첫째:
건강에는 영약(靈藥)이나
묘약이 있다고 믿지
말아라.

둘째:
건강에 관한 한 상식(常識)을
소홀(疏忽)히 하지
말아라.

상식(常識)을 실천(實踐)하는
것만큼 좋은 약은 없다.

셋째:
몸의 건강과 마음의 건강은
함께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라.

몸에 좋은 음식(飮食)이나
약(藥)으로 육체(肉體)가
건강해도 마음이 건강하지
못하면 유지(維持)
하지 못한다.

마음을 항상 긍정적(肯定的)
으로 편안(便安) 하게
갖도록 해야 한다.

넷째:
주어진 인생(人生)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

돈이 충분(充分)치
못하다거나
지위(地位)가 높지
않다고해서
인생의 즐거움이 없는것은
아니다.

다섯째:
보람을 느낄 때 인생은
행복 할 수 있다.

남을 위해서 봉사(奉仕)하는
것만큼 보람을 느낄 수있는
일은 없다.

봉사를 받는 자(者)에게는
조그만 도움이지만
봉사를 하는 자는 더 큰
보람을 느낀다.

그러나 궁극적(窮極的)인
노인의 희망은 내세(來世)에
있다.

창조주(創造主)의 은혜 로
이 세상(世上)에 왔다가
창조주께로 돌아가는

신(神)의 섭리(攝理)에
순종(順從) 하는 것이
노인의 희망인 것이다.



인생은 빈손으로 왔다가
한 아름 안고 가는
길이다.

노인에게도 꿈은
있습니다.

노인에게도 꿈은
있어야 합니다.

이제 다 죽게 되어서
꿈은 무슨 꿈씩이나,
무엇을 해보겠다는
꿈이란 말인가?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스스로 좌절(挫折)한
자요, 무신론자다.

노인도 꿈이있으며 간절
(懇切)한 소망도 있다.
그것은 내세에 대한 기도
(祈禱)이다.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라 던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둥 하는 것은

다 자조적인 불신앙(不信仰)의
의미가 깔려 있다.

내세를 믿지 못하는 자는
죽음의 공포(恐怖)에서
벋어날 길이 없다.

죽음을 각오(覺悟) 한다고
해서 그것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도
아니며

더욱이 죽음을 맞는 올바른
자세(姿勢)일 수도 없다.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느냐고?
철학자(哲學者)들이 수 세기를
연구(硏究) 하고

절간에 앉아 일생(一生)을
벽(壁)을 쳐다 보아도
없는 해답(解答)이
나올 리 없다.



이세상 창조주로부터
와서 한 세상 소풍(消風) 놀 듯
즐겁게 살다가
다시 주님께로
돌아가는 것이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니?

이 세상에 올 때는 발가벗고
빈주먹 쥐고 왔지만
, 갈 때는 빈손으로 가는 것이
아닙니다.

어느 죽은 자를 보나
헌 누더기라도 하나
걸쳤을 것 아니냐?

그 헌 누더기를 걸치기 까지
얼마나 많이 세상을 휘젓고
다녔는가를 상상
(想像)해 보라.

수고를 하였거나
고생(苦生)을 하였거나
그것은 내려놓지 못한
욕심(慾心)에 기인(起因)하는
것이었을 뿐이다.

인생은 빈손으로 왔다가
한 아름 안고 갑니다.

행복을 어디서 찾는가?
채우지 못한 욕망(慾望)에서
눈을 돌려 얼마나
많은 것들을 가졌으며
누려 왔는가를
되돌아보면,

인생은 ‘공수래 공수거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감)
’가 아니다.

더없이 따스한 부모님의 사랑
그리고 내가 누려온 물질들
그래도 ‘공수래공수거’ 라는
서운함이 남았다면
더 살고 싶은 욕심(慾心)일
뿐입니다!!..

글쓴이 : 복사골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