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甲辰年 설날

창산 2024. 2. 8. 09:25







설날



설날,
‘낯설어서’ 설,

아니면,
‘서글퍼서’ 설,

‘한 살 더 먹는다 해서’,
설인가?

설날은
해(年)의 한 간지가 끝나고
새 간지가 시작되는 날로,

‘설’은 ‘설다’, ‘낯설다’,
‘익숙하지 못하다’,
‘삼가다’ 등의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음력 1월 1일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이다.

◈설 유래와 역사◈​

한국의 설날은 서기 488년
신라 비처왕 시절 설날을
쇠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설"은
'순 우 리말 입니다.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
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한다"는 뜻이다.

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 합니다.

차례 후 차례상에 놓였던
여러 명절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음복이
마련되며

이웃 및 친인척을 찾아서
세배를 다니는 일도
중요한 풍습이다.

이 날은 윷놀이·종정도놀이
· 널뛰기·연날리기 같은

세시 민속놀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다.

-메일에서 받은 글 편집 -

◈새해 선물 다섯통을 드립니다◈



*첫번째*
올해는 건강과
행운이 넘치도록
"운수대통"

*두번째*
하시는 일마다
막힘없이
""만사형통"

*세번째*
닫힌 마음의 문을
열고 배려하는
""의사소통"

*네번째*
늘 긍정적으로
웃으며 살자는
""미소 복통"

*다섯번째*
자주 인사하고
먼저 안부 전하는
""전화한통"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우리나라 최대 명절
설날입니다.

설연휴만큼은 근심걱정
잠시 내려놓고
사랑가득 넉넉한 마음으로
즐겁게 보내시고

청룡의 힘찬 기운
많이 받어

소망하는 일들
모두 이루시고
늘행복하고 건강 하시기
바랍니다.

"새해 福 많이받으세요"

2024. 1.10
(창산) 엄익경 拜